라인에서 발행한 LINK 암호화폐 코인
LINE에서 발행한 기업형 암호화폐인 LINK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LINK에 대해 간략히 소개한 후, LINK를 발행하는 LINE 블록체인과 그 에코시스템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LINK의 발행 목적
LINK는 메신저를 비롯한 많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LINE에서 발행한 기업형 암호화폐입니다. LINK의 발행 목적은 LINE의 다양한 서비스들이 포함된 LINE 에코시스템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함입니다. 토큰 이코노미 적용을 통해 사용자의 기여에 따라 보상을 제공하고 에코시스템 내의 다양한 서비스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태계를 더욱 발전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LINK는 다른 많은 암호화폐들처럼 따로 ICO를 진행하지 않고, 생태계 내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보상 형태로 LINK를 분배하는 방식을 선택했습니다. LINK를 사용할 수 있는 에코시스템 내에는 LINE의 암호화폐 거래소인 BITBOX를 비롯하여 많은 서비스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기존에 NAVER나 LINE이 제공해오던 서비스들로써 이미 수많은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새롭게 서비스를 개발하고 사용자를 모아야 하는 타 플랫폼과는 다르게 이미 실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다는 강점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LINK는 BITBOX 거래소를 통해 발행되며, 에코시스템에 추가되는 서비스에 할당되거나 서비스 이용자들에게 보상으로 제공됩니다. LINK를 발행하는 LINE 블록체인의 (예전에 LINK Chain이라 불림) 에코시스템 내에는 앞서 설명했듯이 이미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에코시스템
5개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Content 서비스의 경우 음악이나 비디오, 웹툰 등을 LINK 지불을 통해 이용하게 됩니다. Commerce의 경우에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때 할인이나 페이백을 받을 수 있고, Social 서비스 항목에서는 앱 내의 결제나 개인 간의 송금을 LINK를 통해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게임 내에서의 거래나 캐릭터 육성, 그리고 암호화폐 거래소에서는 수수료 지급이나 할인, 디지털 토큰으로의 교환에 LINK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앞서 설명드렸던 바와 같이 LINE 블록체인 에코시스템 내에 있는 다양한 분야의 많은 서비스들이 토큰 이코노미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이 서비스들로부터 일반 사용자들은 서비스에 대한 기여를 기반으로 LINK를 보상으로 받고, 이를 다시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LINE 블록체인 이용에 대한 수수료로 사용함으로써 생태계가 동작하게 됩니다. 거대한 서비스들이 많아지고 더 많은 사용자들이 확보될수록 에코시스템과 함께 LINK의 가치 역시 더욱 커질 것이라 예상됩니다.
LINEAR 네트워크
LINE 블록체인은 대부분의 블록체인들이 갖고 있는 확장성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LINEAR 네트워크라는 기술을 사용했습니다. LINEAR 네트워크는 인터체인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여러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추가해서 연결하는 방식을 통해 트랜잭션의 처리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LINEAR 네트워크는 하나의 Rootchain과 이에 연결된 여러 개의 Leafchain으로 구성됩니다. 각각의 Leafchain은 서로 독립적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Leafchain마다 하나의 DApp을 독자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습니다. Rootchain은 서로 다른 Leafchain들 간의 자산 이동이 필요할 때 이용하게 됩니다. 슬라이드의 그림은 Leafchain1으로부터 Leafchain2로의 자산 송금을 나타낸 예시입니다. LINE Blockchain Developers는 LINE 블록체인에서 Dapp 개발자들을 위해 블록체인 관리를 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콘솔과 API입니다. 이를 통해서 개발자는 LINE 블록체인 위에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어 서비스 제공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각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지갑을 관리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토큰의 발행, 전송, 소각 등 토큰 관리의 모든 과정을 콘솔을 통해서 쉽게 진행 가능합니다.
카카오의 블록체인 플랫폼 Klaytn
카카오 역시 비슷한 시기에 자회사인 Ground X를 통해 Klaytn이라는 블록체인 플랫폼을 만들었습니다. Klaytn에서는 KLAY라는 암호화폐를 발행하고 있습니다. Klaytn 메인 넷은 허가형 퍼블릭 블록체인으로써 그림에 있는 것처럼 국내외 많은 유명한 기업들이 거버넌스에 참여하여 검증 노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LINE 블록체인처럼 네트워크에 참여하고 있는 사용자들로 구성된 생태계를 활성화시켜 나간다는 넓은 범위의 목표는 동일하지만, 최종적인 목표는 서로 조금 다릅니다. LINE 블록체인의 경우 메신저 서비스인 LINE을 중심으로 해당 기업이 제공하는 다른 여러 서비스들과의 연계를 블록체인을 통해서 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반면에 Klaytn은 이더리움과 같이 Klaytn을 기반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많이 유치하여 커다란 DApp 플랫폼으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따라서 이더리움에서 토큰을 발행할 수 있는 ERC-20 표준이 있듯이, Klaytn에서도 KCT(Klaytn Compatible Token)이라는 표준이 있어, 이를 통해 토큰을 발행하고 새로운 DApp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존에 이더리움을 기반으로 운영되던 DApp들도 쉽게 Klaytn에서의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됩니다. 즉, Klaytn에서 DApp 별로 사용할 토큰을 발행할 수 있는 것과 달리 LINE 블록체인에서는 오직 LINK만을 암호화폐로 사용할 수 있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Klaytn 생태계에는 이미 다양한 분야의 많은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Ecosystem Partners는 기존 서비스 분야에서 구성하고 있는 넓은 네트워크가 Klaytn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여하는 비즈니스 파트너입니다. 또한 Klaytn은 블록체인 기술의 가치와 활용성을 입증하기 위해 다양한 산업 분야의 기업들을 Initial Service Partners로 두어 블록체인 서비스를 도입하였고, Klaytn에 대한 투자를 한 Investors들도 생태계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Klaytn에서는 DApp 대신에 BApp (Blockchain Application)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Klaytn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BApp들 역시 Partner로 Klaytn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이런 BApp들이 점점 더 많아져 이더리움처럼 커다란 BApp 플랫폼이 되는 것이 Klaytn의 목표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LINE에서 발행한 기업형 암호화폐인 LINK에 대해 설명해드렸고, 비슷하면서도 다른 형태인 카카오의 KLAY에 대해서도 말씀드렸습니다.
'암호화폐 이론, 탈중앙화, 블록체인 원리 미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테이블 코인의 종류와 특징 (1) | 2022.07.24 |
---|---|
토큰 생성 ERC 표준 정리 (0) | 2022.07.24 |
한미일 CBDC에 대한 대응 (0) | 2022.07.23 |
각 나라별 CBDC 개발 현황과 대응 진행상황 (0) | 2022.07.23 |
JP Morgan 은행이 발행한 JPM 코인 (1) | 2022.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