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블 코인의 종류와 특징
스테이블 코인의 종류에 대해 설명해 드린 후, 담보물의 종류에 따라 어떻게 스테이블 코인이 분류되고 각각 어떤 특징이 있는지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스테이블 코인은 기본적으로 담보물에 따라서 크게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법정화폐, 실물자산, 혹은 암호화폐 중 하나를 담보물로 둔 사례와 아무런 담보 없이 발행하는 스테이블 코인이 존재합니다. 담보물 없이 발행하는 경우 스테이블 코인의 가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알고리즘이 필요한데, 스테이블 코인의 수요량에 따라 여러 방법으로 공급량을 조절하는 알고리즘들이 존재합니다.
일반적인 스테이블 코인
가장 일반적인 유형의 스테이블 코인은 USD, EUR 또는 GBP와 같은 법정화폐를 담보로 하는 형태입니다. 법정화폐 담보형 스테이블 코인은 금융통화와 1:1 비율로 백업되는데, 이는 스테이블 코인 1개가 1 단위 통화와 같다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기존에 존재하는 스테이블 코인에 대해 담보로 하기 위한 실제 금융통화들이 은행 계좌에 저장되어 있습니다. 누군가가 스테이블 코인을 현금으로 환전하고 싶을 때, 스테이블 코인을 관리하는 집단에서는 담보에서 해당 금액만큼의 현금을 꺼내어 그 사람의 은행 계좌로 보내게 됩니다. 법정화폐 담보형 스테이블 코인은 스테이블 코인이 가질 수 있는 가장 단순한 구조라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스테이블 코인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한, 코인의 가치도 변동하지 않을 것을 보장합니다. Tether, TrueUSD, Libra 등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실물자산 담보형 스테이블 코인
실물자산 담보형 스테이블 코인은 귀금속과 같이 교환 가능한 자산에 의해 가치를 보장받습니다. 담보로 잡히는 가장 흔한 상품은 금입니다. 하지만 석유, 부동산, 그리고 다양한 귀금속이 담보가 되는 스테이블 코인들도 있습니다. 스테이블 코인의 보유자는 본질적으로 대부분의 암호화폐가 가지고 있지 않은 실질적인 가치를 지닌 유형 자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자산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치가 높게 평가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은 사람들이 이 코인들을 더 많이 소유하도록 하는 동기를 부여합니다. 실물자산 담보형 스테이블 코인은 전 세계 어느 누구라도 금과 같은 귀금속이나 심지어 스위스의 부동산에 투자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종류의 자산은 일반적으로 부유층만을 위한 것이었지만, 스테이블 코인을 통해 전 세계 평균적인 개인에게도 새로운 투자 기회가 생기게 됩니다. DGX가 실물자산 담보형 스테이블 코인의 대표적인 예시인데, 1 DGX 스테이블 코인이 1그램의 금을 담보로 발행이 된 것입니다.
암호화폐 담보형 스테이블 코인
암호화폐 담보형 스테이블 코인은 다른 암호화폐를 담보로 합니다. 이 방식은 모든 것이 블록체인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앞선 두 형태의 스테이블 코인에 비해 훨씬 더 분산된 형태를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신뢰할 수 없는 프로세스에서 더 안전하고, 완벽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스테이블 코인은 가격 변동성 위험을 줄이기 위해 발행량보다 더 많은 양의 담보를 두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500달러 상당의 스테이블 코인을 받으려면 그 가치의 200%인 1000달러 가치만큼의 이더리움을 예치해야 합니다. 암호화폐 담보 방식에서는 담보 암호화폐의 가격이 많이 떨어지는 경우 스테이블 코인 대출이 자동으로 청산되게 함으로써, 발행기관의 손해가 생기는 것을 막고 있습니다. 또한 리스크를 분산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암호화폐를 담보로 두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표적인 암호화폐 담보 스테이블 코인 프로젝트로는 BitShares와 MakerDAO가 있습니다. BitShares는 담보 역할을 하는 BTS (BitShares) 토큰과 스테이블 코인 역할을 하는 MPA (Market Pegged Asset)라는 토큰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BTS를 구매해 담보로 맡기고 MPA를 대출받는 형태입니다. MPA는 달러, 위안, 유로, 금, 은 각각과 같은 가치를 가지는 형태로 BitUSD, BitCNY, BitEUR, BitGOLD, BitSilver 다섯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MakerDAO는 한 종류의 스테이블 코인인 다이(DAI)와 담보 대출 수수료로 사용되는 메이커(MKR) 토큰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더리움을 담보로 맡기고 다이를 대출받을 수 있으며, 대출한 다이를 다시 입금할 경우 담보로 맡겨둔 이더리움을 되찾을 수 있습니다. 이때 메이커 토큰을 대출 수수료로 지급해야 합니다. 무담보 스테이블 코인은 어떤 것도 담보로 하지 않는데, 이는 모순적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미국 달러는 과거에는 금을 담보로 하였지만, 수십 년 전에 그런 방식은 끝났음에도 달러는 여전히 안정적입니다. 이는 사람들이 달러의 가치를 믿기 때문입니다. 이같이 무담보 스테이블 코인에도 동일한 아이디어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무담보 스테이블 코인은 알고리즘에 의해 관리되는 방식을 사용하여 코인 공급량을 제어합니다. 예를 들어,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높아진 가격을 다시 정상 수준으로 낮추기 위해 새로운 스테이블 코인을 만들어냅니다. 만약 코인이 너무 적게 거래된다면, 유통량을 줄이기 위해 코인을 다시 사들이게 됩니다. 이론적으로, 이러한 스테이블 코인의 가격은 시장 수요와 공급에 의해 좌우되기 때문에 안정적일 것입니다. 다른 어떤 자산에도 담보되지 않기 때문에 무담보 스테이블 코인은 가장 분산되고 독립적인 형태의 스테이블 코인입니다. 이는 미국 달러와 전체 암호화폐 시장이 붕괴되더라도, 무담보 스테이블 코인은 살아남아 안정세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번 차시에서는 스테이블 코인을 담보물에 따라 분류하고 각각의 특징과 예시에 대해 설명해드렸습니다.
'암호화폐 이론, 탈중앙화, 블록체인 원리 미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호화폐 거래소의 개념과 중앙집중식, 탈중앙화 거래소의 특징 정리 (0) | 2022.07.25 |
---|---|
스테이블 코인의 특징과 한계점 (1) | 2022.07.24 |
토큰 생성 ERC 표준 정리 (0) | 2022.07.24 |
라인에서 발행한 LINK 암호화폐 코인 (1) | 2022.07.24 |
한미일 CBDC에 대한 대응 (0) | 2022.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