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암호화폐 이론, 탈중앙화, 블록체인 원리 미래

DeFi(탈중앙화) 사업 종류와 분야별 실제 사례

DeFi(탈중앙화) 사업 종류와 분야별 실제 사례

DeFi(탈중앙화) 사업 종류와 분야별 실제 사례
DeFi(탈중앙화) 사업 종류와 분야별 실제 사례

DeFi 사업 사례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DeFi 사업에는 어떤 분야들이 있는지 소개하고, 각 분야별로 어떤 사업 사례들이 있는지 설명드리겠습니다. DeFi 사업은 기존 금융 시스템에서 중앙화 된 기관을 없애고, 블록체인 상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기존 시스템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기존에 예금, 대출, 거래, 파생상품 등 많은 종류의 금융 서비스들이 존재하였음에 따라 이들 각각의 탈중앙화된 형태로 구축한 다양한 종류의 DeFi 사업들이 존재합니다. 대표적인 세 가지 DeFi 사업 종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DeFi 담보대출(Lending) 사업

DeFi 담보대출(Lending) 사업은 암호화폐를 담보로 하여 스테이블코인이나 법정화폐를 대출해주는 형태입니다. 또한 스테이 킹 서비스(Staking)는 고객들로부터 스테이 킹 권한을 위임받아 스테이 킹 풀을 구성하여 운영 수익을 분배하는 방식입니다. 탈중앙화 암호화폐 거래소(DEX)는 거래소 인터페이스만을 제공해 사용자들이 직접 암호화폐를 서로 거래할 수 있도록 하는 거래소를 말합니다. 먼저 가장 인기가 많고 시장의 규모가 큰 담보대출 (Lending) 분야입니다. 이 분야 사업의 기본적인 형태는 암호화폐를 담보로 스테이블코인이나 법정화폐를 대출해주는 방식입니다. 대출의 발생이나 청산 과정은 모두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서 진행되고, 담보물인 암호화폐는 가격 변동이 심하기 때문에 초과담보를 설정하고 담보물을 청산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담보 암호화폐의 가격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경우 강제로 대출이 청산되게 됩니다. 해당 사업 분야도 크게 두 가지 모델로 분류가 가능합니다. 한 가지 모델은 서비스를 운영하는 주체가 고객으로부터 담보물인 암호화폐를 받고 대출을 해주는 방식입니다. 다른 한 가지 모델은 특정한 운영 주체 없이 대출을 받고자 하는 사람과 해주고자 하는 사람을 연결해주는 플랫폼으로써 동작하는 방식입니다. 해당 DeFi 사업 분야는 최초의 DeFi 기업인 MakerDAO와 함께 가장 먼저 생겨났고, 현재까지 가장 흔한 형태의 사업입니다. 암호화폐를 소유하고 있는 사람이 당장 돈이 필요하지만 갖고 있는 암호화폐를 팔고 싶지는 않은 경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DeFi 사업입니다. 다음과 같이 MakerDAO 외에도 여러 서비스들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MakerDAO는 이더리움을 담보로 맡기고 스테이블 코인 Dai를 대출받는 형태입니다. 현재 생태계를 더욱 확장하면서 Dai를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들을 더욱 늘려가고 있습니다. 반면에 CoinLoan은 여러 종류의 암호화폐를 담보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많은 종류의 암호화폐뿐만 아니라 법정화폐로도 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 두 서비스 모두 웹뿐만 아니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도 접근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스테이킹 서비스

두 번째로는 스테이 킹 서비스입니다. Proof of Stake (PoS)나 Delegated Proof of Stake (DPoS)와 같은 지분 증명 합의 알고리즘들의 등장으로 생겨나기 시작한 DeFi 사업입니다. 고객 개개인이 갖고 있는 암호화폐를 모아 하나의 스테이 킹 풀을 구성해서 노드를 운영하는 형태입니다. 해당 노드를 운영함으로써 발생하는 보상들을 다시 고객들에게 분배해주게 됩니다. 쉽게 생각해서 기존 은행의 예금과 유사한 방식입니다. 은행 예금은 고객들로부터 위임 받은 예금 자산들을 하나의 기관인 은행이 모아 자산 운용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해당 수익을 이자의 형태로 고객들에게 지급합니다. 해당 DeFi 사업의 경우 하나의 서비스 제공 업체가 은행과 같은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고객들로부터 스테이 킹 권한을 위임받고 스테이 킹 풀 운영이라는 형태의 자산 운용을 수행합니다. 해당 과정에서도 역시 수익이 창출되고 고객들에게 이자를 지급하듯이 수익을 분배합니다. 비교적 안전하게 투자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일정 시간 동안 암호화폐가 묶여있기 때문에 원하는 시점에 이를 매도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는 단점도 존재하는 DeFi 사업입니다. 다음과 같은 여러 서비스들이 운영되는 중입니다. 스테이 킹 서비스인 Certus One과 Chorus One은 각각 다음과 같은 종류의 암호화폐들에 대한 스테이 킹 풀을 만들어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지원하는 암호화폐들의 종류는 앞으로 점점 더 추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고객이 자신의 지갑에 소유하고 있는 암호화폐에 대한 스테이 킹 권한을 서비스가 암호화폐별로 제공하고 있는 주소에 위임함으로써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탈중앙화 암호화폐 거래소

다음은 탈중앙화 암호화폐 거래소입니다. 이전에 암호화폐 거래소에 대해 소개드릴 때 탈중앙화 암호화폐 거래소에 대해서도 설명드렸었습니다. 기존 중앙화된 거래소는 상장 수수료가 존재하고, 입출금에 지연이 발생할 수 있으며, 많은 해커들의 공격 대상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습니다. 이는 거래소가 고객들의 암호화폐 자산을 모두 소유 및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점들입니다. 따라서 탈중앙화 된 거래소에서는 거래를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만 제공함으로써 거래를 원하는 고객 당사자들끼리 직접 암호화폐 거래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많은 문제들을 해결하였습니다. 하지만 법정화폐와의 교환이 불가능하고 직접 암호화폐 지갑을 관리해야 하는 등 사용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실제 거래량이 굉장히 적고, 결과적으로 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아주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점 역시 존재합니다. 금융 시스템에서 화폐 간 환전을 할 수 있는 거래소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탈중앙화 거래소는 DeFi 시장에서 중요한 프로젝트 중 하나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두 탈중앙화 암호화폐 거래소 모두 제한적인 종류의 암호화폐 거래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과거 거래 이력을 보면 급격한 가격 변동이 있었던 시기를 제외하고는 거래가 거의 이루지지 않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탈중앙화 거래소가 가지는 적은 거래량뿐만 아니라 좋지 못한 접근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중앙화 거래소 수준의 사용하기 편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등 접근이 편리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해두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DeFi 사업의 대표적인 사례에 대해 설명해드렸습니다.